[채용] 인하대학교 2026학년도 제1학기 교수초빙(정년)
https://www.inha.ac.kr/kr/1919/subview.do 온라인 접수 및 제출서류 접수기간 : 2025년 8월 29일(금) 17:00 ∼ 9월 12일(금) 12:00 까지 [한국시각 기준] 연구실적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은 디지털 환경과 데이터 처리 기술을 매개로 수행하는 새로운 방식의 인문학 연구와 교육을 말합니다.
About KADH
https://www.inha.ac.kr/kr/1919/subview.do 온라인 접수 및 제출서류 접수기간 : 2025년 8월 29일(금) 17:00 ∼ 9월 12일(금) 12:00 까지 [한국시각 기준] 연구실적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104005&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20402&opType=N – 국가 균형 성장을 위한 대학 육성에 3조 1,326억원 투자 – 국가 인공지능(AI) 3강 도약 및 이공계 인재 양성 위해 3,336억원 편성 – 4-5세 무상교육,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등 정부책임형 유보통합 추진 – 2025년 일몰 예정인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를 연장하고, 기존 유아교육지원특별회계는 영유아특별회계로 확대.개편 등 교육세 구조개편 교육부는 8월 29일(금), 새 정부 국정과제 추진을 … 더 읽기
※ 학술지: Physica A: Statistical Mechanics and its Applications ※ 논문명: Network analysis reveals news press landscape and asymmetric user polarization ※ 논문링크: https://doi.org/10.1016/j.physa.2025.130842 – 관련뉴스: https://www.skku.edu/skku/campus/skk_comm/news.do?mode=view&articleNo=129197 Abstract Unlike traditional media, online news platforms allow users to consume content that suits their tastes and to facilitate 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 However, as more personalized consumption of … 더 읽기
논문: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5-09392-2 데이터&코드: https://github.com/ComplexityBiosystems/GreatFear/https://dataverse.unimi.it/dataset.xhtml?persistentId=doi:10.13130/RD_UNIMI/X5LI3X 팟캐스트(유튜브) 컨텐츠: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5-02749-7 피어리뷰: https://static-content.springer.com/esm/art%3A10.1038%2Fs41586-025-09392-2/MediaObjects/41586_2025_9392_MOESM3_ESM.pdf Epidemiology models explain rumour spreading during France’s Great Fear of 1789 Nature (2025)Cite this article Abstract The Great Fear of 1789, a wave of panic and unrest in rural France fuelled by the spreading of rumours, was an important moment at the onset of the French Revolution, … 더 읽기
안녕하세요. 무더운 여름 잘 보내시고, 새로운 학기의 시작을 잘 준비하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작년에 참가하셨던 SCISCI-KOREA의 두번째 워크숖인 “Science of Science Korea Workshop 2025”가 다가오는 2025년 9월 11일(목), 한국과학기술원(KAIST) 본원 학술문화관 양승택 오디토리움에서 가 개최됩니다. 이번 워크숍은 최근 학문적으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는 과학의 과학(Science of Science) 분야를 중심으로, 과학이 사회와 정책, 혁신 시스템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다학제적 … 더 읽기
일시 : 2025년 8월 28일 장소 : 시카고대 홍콩캠퍼스 신청: https://forms.gle/FH5rKdtXBXjjq5rCA
영화미디어학 대학원생 컨퍼런스 발표초록모집 내 전공이 영화학술대회에서 발표해도 괜찮을지 고민해 보신 적 있나요? 그렇다면 지금 영화미디어학 대학원생 컨퍼런스에 참여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신청링크 https://forms.gle/161S2Xta5WZwQBhk7 영화와 미디어의 낯선 경계, 매개하는 연구들 중앙대학교 영화미디어학센터는 오는 12월 6일 제1회 ‘영화미디어학 대학원생 컨퍼런스’의 개최를 기쁜 마음으로 알립니다. 대학원생 컨퍼런스는 석사 및 박사 과정생들이 주축이 되어 발표를 모집하고 선정하여 운영하는 비공식적 … 더 읽기
The ERC Project “Regionalizing Infrastructures in Chinese History” and KU Leuven Early Modern History Research Group are organizing a workshop and discussion with Dr. Javier Cha (University of Hong Kong) and Hu Jing (Berlin State Library). The workshop, titled Neo4j-Enabled Readings of Intergenerational Mobility and Marriage in Premodern Korea will take place on Monday, September 1, from … 더 읽기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704185 바로: 앞으로 정책 방향. 공부공부-0-;
박진완 / 중앙대학교 / 감성 AI 기반 글로벌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과 이미지 생성 연구 / 3,607,695(천원) / 72개월 / 2025 연구소지원형(국외형) 연구목표: 본 연구는 감성 AI 기반 멀티모달 콘텐츠 생성 기술을 중심으로, 문화적 기억과 감정의 시청각적 표현 및 서사 구조를 재구성하여 글로벌 문화콘텐츠 창작·해석·확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 감성 기반 멀티모달 콘텐츠 생성 AI 연구를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