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Digital Humanities, KADH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은 디지털 환경과 데이터 처리 기술을 매개로 수행하는 새로운 방식의 인문학 연구와 교육을 말합니다.

About KADH

자연어처리분야 논문강독회 /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

자연어처리분야 최신 연구 동향을 이해하기 위해,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계산의미론연구실(aka 송랩)과 (주)나라지식정보가 함께 논문강독회를 준비합니다. ◎일시: 2023년 7월 7일 금요일 오후 3시~ (2~3시간 소요 예정)◎방식: 온라인 및 오프라인 – 온라인 참가 신청: https://forms.gle/eqLuvJD3QBmDb3Yv6 (이메일로 추후 줌 링크를 전달드리겠습니다.) – 오프라인은 (주)나라지식정보 회사에서 진행될 예정입니다. 오프라인 현장 참석을 원하시는 분께서는 이규민(his.nigel@gmail.com)에게 참여의사를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강독 논문 리스트(다운로드 주소: https://bit.ly/3p8y4zA) [1] Data-driven Cross-lingual … Read more

생성AI 관련 뉴스레터 및 사이트 소개

요즘AI가 프로덕트를 찾아보거나 궁금한 점이 생길 때 자주 찾아보고 도움을 받은 생성AI 관련 뉴스레터 및 사이트를 소개합니다. 급변하는 AI 트렌드를 파악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1/ 셀렉트스타 AI NEWS & TRENDS 여러 기업, 학계에서 발표하는 논문이나 기술들을 이해하기 쉽게 분석해주는 뉴스레터. 그 외에도 최근 AI 이슈나 샘 알트만 방한 등 재밌는 이슈에 대한 … Read more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관련 자료 모음

출처: 교육부 / 정책 / 글로컬대학 각 대학 기획서 다운로드 폴더: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iO24RaUqZOX-kshVDExeVgOlQ7jUj22d?usp=sharing ▪ 의의 : 대학 내‧외부 벽을 허물고, 지역‧산업계 등과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대학-지역의 동반성장을 이끌어 갈 대학을 집중 지원 ▪ 지정규모 : 2023년 10개 내외 → 2026년까지 30개 내외 지정 목표 ※ 2023년, 2024년 10개 내외 지정, 2025년, 2026년 5개 내외 지정 ▪ 지정대상 … Read more

KAIST, 법 조문 간 연결 네트워크 분석···”리걸테크 신산업 창출”

KAIST(총장 이광형)는 우리나라 법 조문 간 연결 관계를 분석해 법 체계의 발전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연구에 나선다고 16일 밝혔다.  이 대학 문화기술대학원 박주용 교수와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박태정 교수 공동연구팀은 국내 법령 데이터와 국제 조약 데이터를 전수 수집한 뒤 복합계 네트워크로 구성해 분석하는 ‘포스트 AI 시대 법 발전학’ 연구를 수행한다.  https://zdnet.co.kr/view/?no=20230616134658

《北大新闻与传播评论》(第十三辑)《重现日常生活:数字、人文与传播》出版

(한국어 번역) 최근 북경대학교 출판부에서 북경대학교 저널리즘과 커뮤니케이션 리뷰(13번째 시리즈)인 ‘일상의 재창조: 디지털, 인문학, 커뮤니케이션’을 발간했습니다. 2004년에 창간된 PKU 저널리즘과 커뮤니케이션 리뷰는 한때 중국 사회과학 인용 색인(CSSCI)의 자료집(2017~2018년)이었습니다. 학술지로서 저널리즘 및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야의 최첨단 이슈뿐만 아니라 학제 간 연구 패러다임의 확장에 중점을 두고 항상 ‘이론과 실천’을 고수하며 창간 이래 학술적 질에 집중해 왔습니다. https://news.pku.edu.cn/xwzh/ec836170f87b4eaa96e7b0328d13ba83.htm

고려대, 학계 최초 한국어 특화 대규모언어모델(LLM) 공개…韓 생성AI 기여 기대

“고려대 연구진이 국내 대학 최초로 한국어 특화 대규모언어모델(LLM)을 공개했다. 초거대 언어모델 학습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한국어 특화 LLM을 개발한 것이다. 한국어 모델 뿐만 아니라 데이터셋까지 모두 공개하며 국내 생성형 인공지능(AI) 생태계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https://www.etnews.com/20230616000153

전송문 (全宋文), 전원문(全元文) 목차 파일 다운로드

CBDB의 주관 기관 중에 하나인 미국 하버드 대학에서 기계가독이 가능한 전원문(全元文: 중국 원나라 시기[1271-1368]에 쓰여진 모든 글을 모아 편집한 자료)의 목차 파일를 공개하였습니다. 또, 이전에 이미 공개가 되었지만, 이 기회에 전송문(全宋文, 중국 송나라 시기[960-1279]에 쓰여진 모든 글의 모아 편집한 자료)의 목차 파일도 다시 공지 되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접근 가능합니다 전원문: https://projects.iq.harvard.edu/cbdb/data-sets전송문: 대만 송사 연구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