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학술기본법’ 통과될 수 있을까…공감대 형성이 절실
‘인문사회학술기본법’ 통과될 수 있을까…공감대 형성이 절실 – 교수신문 (kyosu.net)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은 디지털 환경과 데이터 처리 기술을 매개로 수행하는 새로운 방식의 인문학 연구와 교육을 말합니다.
About KADH‘인문사회학술기본법’ 통과될 수 있을까…공감대 형성이 절실 – 교수신문 (kyosu.net)
디지털인문학 분야에서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DHQ(Digital Humanities Quarterly)에서 special issue를 모집. Data Science and History: Practicing and Theorizing Data-Driven Inquiries into the Past 이슈는 7월 15일에 초록 제출 마감. 초록 제출 후 선정된 논문의 전문을 연말에 내는 일정. http://www.digitalhumanities.org/dhq/submissions/cfps.html
– 제목: 2023 International Conference of Epigraphic Culture in East Asia (東亞石刻文化國際硏討會) – 시간 및 장소: 첫째날(2023. 06. 28, 수요일):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형관 지하1층 B107 대회의실 둘째날(2023. 06. 29, 목요일): 고려대학교 서관 B110호 *통역은 토론 세션에 한하여 제공합니다. https://www.aks.ac.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319472&bbsId=BBSMSTR_000000000082&menuNo=4010110000
디지털인문학의 역사를 Milestone 기준으로 정리한 사이트 Historical milestones of DH | Digital Humanities | MUNI PHIL
https://theme.npm.edu.tw/opendata/ 타이완 고궁 박물관의 Open Data 서비스이다. 타이완 고궁 박물관은 중화민국이 타이완으로 도망치면서, 당시에 가장 귀중한 중국 유물을 거의 다 가져왔기에, 중국 유물의 정수가 있다는 곳이다. 그런 곳에서 Open Data를 수행하고 있다. Open 데이터이기에, 신청도, 용도 제한도, 비용지불조차 없다. 더 구체적으로 100만개의 CC0(완전 공개)와 600만개의 CCBY(저작권표기) 데이터가 공개되어 있다. 심지어는 2020년에 일본 유명 게임인 동물의 … Read more
https://www.museum.go.kr/site/main/content/relics_management_system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전국의 국공사립 박물관 및 미술관 등이 보유하고 있는 소장품의 체계적인 관리지원을 위하여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배포하고 있습니다.
https://github.com/jiaeyan/Jiayan 甲言,专注于古代汉语(古汉语/古文/文言文/文言)处理的NLP工具包,支持文言词库构建、分词、词性标注、断句和标点。 Jiayan, the 1st NLP toolkit designed for Classical Chinese, supports lexicon construction, tokenizing, POS tagging, sentence segmentation and punctuation.
제2기 코퍼스언어학학교를 2023년 8월 18일(금)~19일(토) 양일에 걸쳐 충남대학교에서 개최할 계획입니다. 제2기 코퍼스언어학학교에서도 학문후속세대와 연구자들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을 주는 세 가지 주제의 집중 강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선 코퍼스를 분석하는 중요한 도구중의 하나인 AntConc의 소개와 실습을 제공할 것입니다. 또한 R을 활용한 통계 및 논문 작성법, 그리고 파이썬(python)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한 코퍼스 가공과 처리를 소개할 예정입니다. 특히, 이번 제2기 코퍼스언어학학교는 … Read more
제19기 사전편찬교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사전학센터에서 제19기 사전편찬교실을 개최합니다. 이번 사전편찬교실은 각 분야의 어휘지식을 디지털 자원화하여 웹 플랫폼에서 편집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함으로써, 웹 3.0 시대에 맞춤한 어휘지식의 구축과 공유의 과정을 경험하는 데 목표를 둔 프로그램입니다. 사전 편찬에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강사진: 고형진(고려대), 김일환(성신여대), 김종환(네이버클라우드), 도원영(고려대), 박진아(네이버클라우드), 이현주(인천대), 장선우(고려대), 전준현(한성대), 최경봉(원광대) 기간 : … Read more
안녕하세요! 한국교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교육연구소(소장 김석영)에서는 ‘동아시아 한자어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주제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주제로 국내외의 여러 학자들을 초청하여 콜로키움을 개최하고 있습니다. 이번 발표회는 아래와 같이 온·오프라인에서 동시에 진행됩니다. – 주제: 의항이 차이 나는 한중일 공통 한자어에 대해: “한중일 공통 한자어 어휘집”을 중심으로 – 강연자: 박진호(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일시: 2023년 7월 3일(월), 늦은 3시~5시 – 장소: 한국교원대학교 미래도서관 202호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