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Digital Humanities, KADH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은 디지털 환경과 데이터 처리 기술을 매개로 수행하는 새로운 방식의 인문학 연구와 교육을 말합니다.

About KADH

2025 JADH-KADH Joint Symposium (Jan 24, 2025)

2025년 한일 디지털인문학 교류 심포지엄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KADH)와 일본디지털인문학협의회(JADH)의 교류 심포지엄입니다. 한일 연구자들의 발표를 실시간 통역 플랫폼(한일 통역)을 활용해 진행할 예정입니다. 장소 :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201호 일시 : 2025년 1월 24일 (금), 13:00 ~ 17:40 Session 1. Digital Humanities and Buddhist Studies Session 2. Digital Humanities and Japanese and Korean History

논문지도: 방임형 vs 관리형 by 현대문학자통신

지난 12월 18일부터 1월 5일까지 진행한 <한국현대문학 대학원생에게 묻는다> 설문조사가 마무리됐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6개 항목(정체성 / 논문 지도 / 대학원 생활 및 네트워크 / 공간 / 자기 돌봄 / 생계) 총 4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대학원생의 학업 및 생활 전반에 관한 여러 목소리들을 모아봤습니다. 그 결과 무려 65명의 대학원생 분들이 소중한 의견을 나눠주셨습니다. 다소 진지하고 날카로운 질문들에도 성심성의껏 답해주신 모든 … Read more

[CFP] Conference of Computational Literary Studies 2025

JCLS is an international, diamond open access, peer-reviewed online journal dedicated to all aspects of computational approaches to Literary Studies. JCLS responds to the differentiation of subfields within the Digital Humanities, an ongoing process in which Computational Literary Studies has already gained considerable maturity and visibility. The journal provides a publishing platform for works on … Read more

[에세이] WHERE WILL THE DIGITAL HUMANITIES BE IN 100 YEARS?

WHERE WILL THE DIGITAL HUMANITIES BE IN 100 YEARS? The humanities as a hope for the digital Tello, J. C. (2025). Where will the digital humanities be in 100 years? Metode Science Studies Journal, 15, Article 15. https://doi.org/10.7203/metode.15.27672 (아래는 NotebookLM을 활용한 한국어 요약문입니다) 개요: 이 브리핑 문서는 “Metode Science Studies Journal”에 게재된 호세 칼보 텔로(José … Read more

How AI is unlocking ancient texts — and could rewrite history

네이처의 실린 기사, “AI가 고대 문자를 해독하고 역사를 다시 쓰는 방법”. 아래는 한국 사료 사례. “South Korean researchers, meanwhile, are facing very different challenges as they tackle one of the world’s largest historical archives: detailed daily records with hundreds of thousands of articles covering the reigns of 27 Korean kings, dating from the fourteenth to … Read more

包伟民 | 디지털 인문학과 역사학에 대한 새로운 도전(数字人文及其对历史学的新挑战)

包伟民 | 数字人文及其对历史学的新挑战 이 글은 디지털 인문학 시대에 역사학이 직면한 새로운 도전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제공합니다. 저자는 디지털 기술이 역사 연구에 가져온 혁신적인 변화와 편리함을 인정하면서도, 그 이면에 존재하는 한계와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하며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합니다. 특히 중국 고대사 연구를 중심으로 데이터베이스 검색, 의제 설정, 통계 분석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 Read more

[교육] HUSS 2025역량 강화 프로그램

안녕하세요? 고려대학교 BK21언어학교육연구팀입니다.고려대학교 인문사회 디지털 융합인재양성사업단에서는 인공지능 활용 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2025 역량 강화 집중 프로그램>을 개설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고려대학교 교내 구성원의 인공지능 활용 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2025 역량 강화 집중 프로그램>을 개설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일시: 2025년 1월 14일~2월 13일(프로그램마다 진행 기간이 상이하므로 시간표 참고) 장소: 추후 공지 예정 신청 링크: https://forms.gle/KiEiJD8owzdVMvQD9(프로그램 중복 신청 … Read more

2025 “네트워크형 DH 교육 모델 연구” 워크샵 (250108-09)

디지털 인문학은 이제 인문학의 새로운 화두가 되었습니다. 인문학 내의 수량적 분석, 생성형 AI의 잠재력 관한 논의, 인문학-공학의 융합수업을 거쳐 나온 학생 프로젝트의 결과물은 이제 인문학 교육이 어디로 향해야 할 것인지 묻고 있습니다. 이번 워크샵은 저희 연구재단 공동연구 “네트워크형 디지털 인문학 교육모델 개발” 팀이 지난 3년간 진행했던 교육 실험을 마무리하는 자리입니다. 개별 대학 안의 디지털 인문학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