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OmniThink: Expanding Knowledge Boundaries in Machine Writing through Thinking

https://arxiv.org/abs/2501.09751 https://github.com/zjunlp/OmniThink Machine writing with large language models often relies on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However, these approaches remain confined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model’s predefined scope, limiting the generation of content with rich information. Specifically, vanilla-retrieved information tends to lack depth, utility, and suffers from redundancy, which negatively impacts the quality of generated articles, leading … Read more

[논문] Evolving Deeper LLM Thinking

https://arxiv.org/abs/2501.09891 We explore an evolutionary search strategy for scaling inference time compute in Large Language Models. The proposed approach, Mind Evolution, uses a language model to generate, recombine and refine candidate responses. The proposed approach avoids the need to formalize the underlying inference problem whenever a solution evaluator is available. Controlling for inference cost, we … Read more

[논문] 생성형 AI, 고등 교육의 새로운 계산기?

The New Calculator? Practices, Norms, and Implications of Generative AI in Higher Education. https://arxiv.org/abs/2501.08864 Simkute 외(2025)의 논문에서는 고등 교육에서 생성형 AI(GenAI)의 사용 현황, 규범, 그리고 그 영향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본 연구는 2023년 12월부터 2024년 2월까지 영국 내 두 개 대학의 다양한 학과 학생 26명과 교수 11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진행되었습니다.   … Read more

[논문] HERITAGE: An End-to-End Web Platform for Processing Korean Historical Documents in Hanja

https://arxiv.org/abs/2501.11951 Hanja Processing Platform: https://hanja.dev YouTube: HERITAGE: An End-to-End Web Platform for Processing Korean Historical Documents in Hanja Seyoung Song, Haneul Yoo, Jiho Jin, Kyunghyun Cho, Alice Oh While Korean historical documents are invaluable cultural heritage, understanding those documents requires in-depth Hanja expertise. Hanja is an ancient language used in Korea before the 20th century, whose characters were borrowed … Read more

[논문] Large Language Models based on historical text could offer informative tools for behavioral science

(deepl 번역) 인간 행동에 대한 연구는 전통적으로 현재에 초점을 맞춥니다. 결국 사람들은 현재 살아 있지 않으면 설문조사에 응하거나 실험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즉 역사적 대규모 언어 모델(HLLM)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역사 텍스트 말뭉치에 대해 학습된 이러한 생성 모델은 시뮬레이션된 역사적 참여자 집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가짜 … Read more

[논문]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본 1940년대 후반 중국 언론 지형과 제3세력 (배건준, 2024)

배건준 선생님의 논문. 깃허브에 연구에 활용한 데이터와 코드를 공유하고, 데이터 처리과정을 자세히 적어두었음. 연구 신뢰도 향상과 논문을 읽는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모범적인 사례. 초록 이 논문은 1940년대 후반 중국 제3세력의 위상을 확인하기 위해, 1945년부터 1949년까지 발행된 잡지의 색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저자와 잡지를 중심으로 한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한다. 지식인으로서 언론을 통한 정치 담론 생산과 여론 … Read more

[논문] Character as a Web of Words: Towards a Network Theory of Narrative / Yongsoo Kim

This study explores an integration of network science and structuralist narratology to advance the analysis of literary characters, moving beyond the conventional methodology that simplistically categorizes characters as mere nodes within a social network. By drawing upon Seymour Chatman’s narrative theory, particularly his view of character as “a paradigm of traits,” I conceptualize characters as … Read more

디지털인문학(KJDH) 창간호

학술지 <디지털인문학(Korean Journal of Digital Humanities)> 창간호 발간일 : 2024.05.31 간행사 한국에서 대개 ‘~~학회’라는 이름을 달고 있는 학술단체의 활동으로는 학술대회 개최와 학술지 간행이라는 두 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 이 관행이 너무 굳어져서 학술단체가 수행할 수 있는 학술활동에 대한 연구자들의 상상력을 제약하는 측면도 있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학술단체가 제대로 자리를 잡고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는 인상을 주려면 이 … Read more

[논문] 한국문학 자료 구축의 한 방안: 한국어학과 한국문학의 상호 발전을 위하여

“이 글에서는 한국어학과 한국문학의 상호 발전을 위해 한국어학계와 한국문학계의 조화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각 학계의 사정을 살펴보고 디지털인문학적인 관점에서의 상호 발전 방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학계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언어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코퍼스로 구축하여 연구에 도입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많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둔 바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한국어학계 또한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