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KP(Bibliography of Modern Korean Periodicals)
미국 시카고대학 연구진이 만든 근대 한국 정기간행물 데이터베이스 프로젝트.

본 프로젝트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시기인 일제강점기의 정기간행물 900여 종에 대한 종합적인 네트워크 시각화를 제공함으로써 이 시대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출판 날짜, 인물, 장소, 잡지 특성 간의 관계에 대한 상호작용적인 분석을 제공하여 이 시대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맥락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탐구를 지원합니다.
일제강점기 잡지는 식민 통치하의 지적 담론, 문화 교류, 사회적 역학 관계를 기록하는 중요한 1차 사료입니다. 이 자료들은 당시의 복잡한 현실을 반영하며 역사, 문학, 사회학 및 관련 분야 연구자들에게 매우 귀중합니다. 이러한 정기간행물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그 지적 유산을 보존하고 역사적으로 풍부한 이 시대를 더 잘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본 프로젝트는 수상 경력에 빛나는 ‘동아시아 정기간행물 서지(식민지 조선, 1900-1945)/Bibliography of East Asian Periodicals (Colonial Korea 1900-1945)‘(BKP) 프로젝트의 기초 작업을 기반으로, 더 넓은 범위의 정기간행물을 포괄하고 분석 도구를 강화하여 그 범위를 확장합니다. 본 프로젝트는 지적 잡지, 문학 잡지부터 정치 저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출판물을 다루며 일제강점기 지적 다양성을 포착합니다. BKP 프로젝트의 성공을 바탕으로 프로젝트 팀원들은 수집한 귀중한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 디지털 인문학(DH) 프로젝트를 모색했습니다.
디지털 인문학(DH) 기술을 활용하여 이 프로젝트는 복잡한 서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혁신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전통적인 정적 서지와 달리 네트워크 분석 및 데이터 시각화와 같은 DH 도구를 사용하면 저자, 출판 동향, 지리적 분포와 같은 핵심 요소 간의 관계를 동적으로 탐색할 수 있습니다. 이 상호작용적인 접근 방식은 새로운 패턴과 통찰력을 발견하여 연구 효율성과 깊이를 모두 향상시킵니다.
이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중요한 기여를 약속합니다.
접근성 향상 및 체계적인 정보 제공: 연구자들은 식민지 시대 정기간행물에 대한 구조화되고 검색 가능한 데이터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이러한 자료를 자신의 연구에 더 쉽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연구 기회: 데이터 기반 방법론을 활용함으로써 이 프로젝트는 새로운 학문적 발견을 촉진하고 일제강점기에 대한 증가하는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교육 및 대중 인식 제고: 시각 자료와 분석 결과는 교육 목적으로도 사용되어 이 시대의 지적, 문화적 환경에 대한 대중의 이해와 인식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프로젝트 팀은 이 프로젝트를 가능하게 한 예일대학교 동아시아 연구 협의회(CEAS)의 연구 기금의 아낌없는 지원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또한 이 프로젝트의 성공에 필수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은 친애하는 동료들에게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바로: 기본적으로 재미 있고 좋은 시도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데이터의 양과 관계가 복잡해질 때 네트워크 시각화에서 발생하는 털뭉치(Hairball) 현상이 보인다. 털뭉치(Hairball)는 고양이가 토해낸 털뭉치인데, 털뭉치처럼 결과물이 얽히고설켜 알아보기 어렵다는 의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UI에 대한 많은 고민이 있어야 할 듯 하며, 본질적으로 (절대 쉽진 않지만,) 사용자가 시각화가 아닌 데이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질의(query)를 통해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DH 연구 답게 rawdata가 공개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듯 하다.
다만 해당 데이터의 사용허가 범위를 “출처표시” 혹은 MIT 라이센스 등으로 명시해두지 않았다. 따라서, 개인적인 취미생활이 아닌 공식적인 reuse를 원하시면 jeeyoungpark@uchicago.edu 으로 연락하셔야 한다. (뭐… 학술논문 사용에 필요한 출처표기-비영리 조건으로는 당연히 허용될 듯 하지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