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가지 주제에 맞춰 13명의 연구자가 쓴 글과 그들이 함께 토론한 내용을 담아낸 것으로서, 디지털 한국어문학 분야를 모색하는 본격적 출발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어학, 현대문학, 고전문학, 한문학, 문화연구 등 여러 한국어문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디지털 인문학 연구 ․ 교육의 경험은, 한 곳에 정리하기가 쉽지 않은 이야기들이다. 한국어문학 분야의 학술적 문제의식을 디지털 환경에서 전개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저자 : 류인태, 곽지은, 권기성, 김바로, 김병준, 김지선, 박진호, 양승목, 이민철, 이재연, 장문석, 지영원, 한희연
제1장 디지털 인문학과 한국어문학 연구
<첫 번째 이야기> 읽기-쓰기와 데이터 그리고 디지털 인문학
<두 번째 이야기> 디지털 한국문학 연구의 과거, 현재, 미래
함께 나눈 이야기 하나.
한국문학 연구는 디지털 인문학과 어떻게 만날 수 있는가?
제2장 데이터를 활용한 한국문학 교육의 시도
<세 번째 이야기> 한국현대문학 교육과 데이터 편찬
<네 번째 이야기> 인문 데이터 편찬 교육의 실제
함께 나눈 이야기 둘.
한국문학 교육과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은 어떻게 만날 수 있는가?
제3장 고전문학 연구와 데이터 처리
<다섯 번째 이야기> 고전문학 연구에서의 데이터 활용과 의미
<여섯 번째 이야기> 야담 연구 및 활용의 2.0을 위하여
함께 나눈 이야기 셋.
고전문학 연구와 데이터베이스 기술은 어떻게 만날 수 있는가?
제4장 한문학 데이터의 편찬과 분석
<일곱 번째 이야기> 『시화총림(詩話叢林)』연구를 통해 살펴보는 한문학 데이터 편찬
<여덟 번째 이야기> 수신사(修信使) 자료 연구와 한문학 데이터의 가공 및 분석
함께 나눈 이야기 넷.
한문학 연구에서 데이터 편찬 및 분석 방법론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제5장 자연어 처리와 형태소 분석기의 활용
<아홉 번째 이야기> 단어 벡터와 문장 벡터를 이용한 동형어 구분
<열 번째 이야기> 형태소 분석기 Kiwi의 가능성과 한계, 그리고 그 너머
함께 나눈 이야기 다섯.
자연어 처리 기술과 형태소 분석기의 성능은 어디까지 도달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
제6장 문학 데이터 분석 방법과 연구 사례
<열한 번째 이야기> 고전문학 데이터 분석 사례와 그 의미
<열두 번째 이야기> 현대문학 데이터 분석 사례와 그 의미
함께 나눈 이야기 여섯.
문학 연구에서 데이터 분석의 효용과 의미는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