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 회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한국의 디지털인문학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한국 디지털인문학 교육의 미래를 함께 고민하는 KADH2022(2022년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를 11월 5일(토)에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개최할 예정입니다.
KADH2022에서는 “디지털인문학 교육의 상생과 모색”을 대주제로 삼아, 디지털인문학 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해보고자 합니다. 디지털인문학은 신흥학문으로서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참신한 도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전통인문학과의 접점을 어떻게 설정해야하는가?” 부터 “디지털인문학 교수자를 어떻게 양성하고 확보할 수 있는가?”까지 다양한 현안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천리길도 한걸음부터라는 말이 있듯이, KADH2022를 통해 서울대, 고려대, UNIST, KAIST, 한국외대, 한림대,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디지털인문학 교육의 현재를 되돌아보고, 미래를 함께 모색해보는 자리를 마련해보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토론을 고대합니다.
행사 안내
- 주제: 디지털인문학 교육: 협업, 도전, 상생의 인문학
- 일시: 2022년 11월 5일 토요일 10:30~18:00 Korea Standard Time(KST)
- 장소:
- 오프라인 회의장 : 한국학중앙연구원 강당동 1층 소강당
- 온라인 발표 및 종합토론 Zoom
– 줌 (Zoom) 회의실 ID: 350 758 0705 암호: 6xiDaa - 온라인 참여 및 토론 (참가자 토론) YouTube
- 주최: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주식회사 PCN
- 주관: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 문의: 김바로(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 교수) ddokbaro@gmail.com
발표 주제 및 일정
시간 | 세션 | 내용 | 발표자 |
---|---|---|---|
10:30 – 11:00 | 개회식 | 개회사 | 김현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 회장) |
11:00 – 12:00 | DH 교육 & 도전 (사회: 조원희(한국학중앙연구원)) | 인문사회과학적 통찰력과 디지털 문해력: 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교육 | 김병준 (KAIST) |
인문 교육 향상을 위한 서울대의 모색들 – 디지털 문해력 함양을 중심으로 – | 허수 (서울대학교) | ||
12:00 – 13:00 | 점심 식사 | ||
13:00 – 14:30 | DH 교육 & 현장 (사회: 류인태(성균관대학교)) | 가상재현물로 보는 1848년 창경궁 통명전 야진찬 | 김현승, 이소영, 박현정, 이한나 (한국학중앙연구원) |
또다른 세상으로의 발걸음: 디지털 큐레이션으로 보는 고종의 신문물 도입 | 김해인 (한국학중앙연구원) | ||
‘한양도성 타임머신’에서 네트워크의 의미: 숭례문 네트워크 표상의 예를 통하여 | 김혁 (한국학중앙연구원) | ||
14:30 – 14:40 | 휴식 시간 | ||
14:40 – 15:40 | DH 교육 & 만남 (사회: 김영민(동국대학교)) | 한림대 디지털인문예술전공: DH 교육의 성과와 과제 | 김용수 (한림대학교) |
디지털 인문학과 AI 연계 수업 개발 및 강의 경험: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의 한 사례 | 이재연, 한남기 (UNIST) | ||
15:40 – 15:50 | 휴식 시간 | ||
15:50 – 16:50 | DH 교육 & 토대 (사회: 김바로(한국학중앙연구원)) | 디지털 인문학 교과과정의 설계 및 실제 | 이영제 (고려대학교) |
한국외대 데이터 큐레이션 커리큘럼과 교육 플랫폼 전략 | 박정원 (한국외국어대학교) | ||
16:50 – 17:10 | 커피 콘서트 – Duo A&U 바이올린:김미영, 기타:김정열 | ||
17:10 – 18:00 | 종합 토론 (사회: 김현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 회장)) |
※ 발표 제목을 클릭하시면 온라인 발표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