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대학 육성
◦ (디지털 교육 공유·개방) 수도권–지방 (전문)대학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첨단분야 연구·산업계 수요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개발·공유하는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의 지원대상‧분야* 확대 (교육부)
* AI, 빅데이터, 차세대반도체, 미래차, 실감미디어, 지능형로봇 등 8개 분야 지원 중 → 인재양성이 시급한 디지털 분야(IoT, 5G, 클라우드, 블록체인 등)로 확대 추진
◦ (SW 전공 확대) 대학 디지털 교육 혁신* 및 SW 전공자 확충을 위해 전문대 트랙 신설 등 ‘SW 중심대학’ 확대(’22. 44교 → ’27. 100교 목표) (과기정통부)
* 전 재학생 SW·AI교육(교양) 필수화, 융합‧연계전공 확대, 학-석사 연계 패스트트랙 도입
◦ (산학연 융합연계) 디지털 첨단분야 등에 대학원 산학연계 교육모델* 발굴‧확산을 위한 ‘LINC 3.0’ 추진(’22~’27, 일반대 76교, 전문대 59교) → (전문)대학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산학연 협력모델 구축 지원 (교육부)
* 현장실습, 연구 연계 캡스톤디자인, 현장 전문가 교수(산학겸임) 활용, 기업-대학 간 공동교육과정 개발‧운영 등
◦ (범부처, 지자체 협력) 디지털* 등 신기술 분야 수요를 반영해 부처 간 혁신인재 양성 공동 사업 기획‧운영(’22. 7개 부처, 14개 분야, 4,300명 양성) (교육부)
* AI반도체(과기정통부), 의료AI(복지부), 개인정보보안(개인정보위), 미래형자동차(산업부) 등
– 지역의 첨단핵심 분야 인재양성을 위해 지자체-대학-지역혁신기관이 협력하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지속 지원 (교육부)
[RIS 인재양성 우수사례] 울산·경남 플랫폼, NHN 아카데미• IT 인재양성을 위해 지자체, 지역대학과 연계한 기초 및 전공과정 개발·운영(’21. 59명)• 학생 선발 시 지역대학생과 청년 우대, 전공과정 이수자에게 NHN 관계사 채용 시 우대 등 |
□ 디지털 기술 대도약을 위한 최고 수준의 연구 중심 인재양성 지원
◦ (신산업 융복합 연구인력 양성) AI, 빅데이터 등 혁신성장 선도 신산업 분야 경쟁력 제고 및 산업‧사회문제 해결을 선도할 고급인재 육성 (교육부)
※ 4단계 BK21을 통해 AI 등 신산업·융복합분야 교육연구단 지원(’22. 205개)
– 디지털 등 신산업 및 주력산업 내 SW융합 석‧박사급 인재 육성‧활용 선순환으로 융합인재 확대(’22. 49개 과제) (산업부)
※ 산업혁신인재성장지원사업 내 융합형 과제 범위(’22. 12%) 확대 검토
◦ (디지털 분야 대학원 확대) 디지털 분야별(AI, 메타버스, 빅데이터 등) 고급인재양성을 위한 대학원 설치‧운영 지원 (과기정통부)
– 연구소 간 협력, 공통·특화분야의 연구시설·장비 집적화 등 연구인프라 전문화 추진*을 통해 ‘ICT‧융합연구’ 분야 연구지원·인력 양성 (교육부)
* 대학중점연구소사업, 기초과학연구역량강화사업 확대·개편 추진(’23~)
□ AI 등 디지털+X 융합 과정 활성화
◦ (학사 유연화) AI 등 디지털 분야와의 융합전공 운영 활성화를 위한 미래 융복합 혁신인재 양성 체계 확산(’23~) (교육부)
❶ 대학 수준의 SW 등 디지털 교양과정 확대 (교육부) |
◦ (대학혁신지원) SW, AI 등 기초 디지털 교양 교육, 데이터 기반 학생 지원(e-Advisor, AI튜터링 등) 등 대학의 자율적인 디지털 혁신 지원
(한국외대) 데이터기반 창의융합 교과목 개편, 문제해결형 융복합 혁신 교육 콘텐츠 개발 •데이터기반 창의융합 교과목 개편: 융합형 교과목(32개) 개편, PBL교과목(21개) 개발 •학습자 설계 융합전공 1:1 컨설팅 강화 및 학습·진로 상담 강화 •비대면교수-학습 환경 개선: VCMS 시스템을 탑재한 HUFS 클라우드를 활용 |
❷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촘촘한 교육망 구축‧운영 |
□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리터러시 교육 (교육부)
◦ (학생다중문해력(multiliteracy)*) 독서·인문·글쓰기, 미디어·AI 교육 등 학교교육과정과 연계한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함양 교육 기반 구축
*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문자(시각자료, 문자, 디지털 언어 등)를 해석하고 생산하며 평가하는 능력으로 정보선택 및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 등을 포함
※ 학교에서 학생들이 독서교육과 디지털·미디어와 연계한 융합·창작 활동, 협력수업이 가능하도록 학교도서관 개선 및 활용 사업 지원(’22~)
□ (대학교수) 국내‧외 장기연수 지원 (교육부)
◦ 비전공 교수 대상 국내 교육(K-MOOC,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등 활용) 이수와 함께 해외 대학‧연구소‧기업을 통한 연수 지원(연구년 활용, ’기술 논문’ 필수)(’24~)
※ 교수 디지털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장기연수 이수체계 개발
(현장의견) 해외 사이트에서 세계적 기술 동향을 파악하고 있는데, 최근 주변 개발자들과 함께 K-MOOC 강좌를 수강하면서 앱 개발에 활용 (선도기업 개발자, ’22.상) |
□ (교양) 인문학적 사고, 기초 과학‧수학 등 기초교양교육 강화
◦ (인문학) AI시대에는 전공에 관계없이 인문학 기초교양이 필수라는 인식을 교육 현장에 확산토록 독서교육 및 대학 인문학 강화 지원
※ (초중등교육) 민-관 협력 전자책 ‘북드림’ 서비스,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고도화 등
※ (고등교육) ‘교양 콘테스트’ 운영 및 우수 인문학 교과목 모델 발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