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태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 인문학 / 원삼국시기 목관-목곽묘의 분표정형과 경관 요소로 본 사로국 / 2024년도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A유형) 예비선정
연구목표:
신라는 경주지역에서 성장한 진한 사로국이 모태가 되어 주변 세력들을 통합하면서 성립되어 신라 고분문화 근원은 원삼국시기 목관·목곽묘와 연결된다. 따라서 경주지역 등의 목관·목곽묘 자료는 사로국에 대한 다양한 고고학적 논의를 하는 데 장점이다. 즉 경주지역은 최초의 와질토기의 존재를 알린 조양동 유적과 사라리, 탑동, 황성동, 덕천리 유적 등이 잘 알려져 있다. 또 사로국과 관련 깊은 울산지역은 중산리, 다운동, 하삼정, 대안리, 교동, 창평동, 장현동 유적 등이 대표적이고, 포항지역은 옥성리, 성곡리, 초곡리, 남성리 유적 등의 자료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원삼국시기 경주, 울산, 포항지역 목관·목곽묘 자료를 중심으로 분포정형과 경관 요소를 결부한 사로국의 입체적 복원을 시도한다. 또 대구(팔달동, 가천동, 서변동, 비산동 유적), 영천(청전리 유적), 경산(조영, 임당, 신대리, 양지리 유적), 칠곡(심천리 유적), 양산지역(소토리 유적) 등의 목관·목곽묘로 확대하여 경주지역과 비교 검토하여 양상을 종합한다.
특히 원삼국시기 경주, 울산, 포항지역 목관·목곽묘의 분포정형과 경관 요소를 삼한 ‘국’ 구조의 개념도와 결부해서 사로국의 형성과 성장을 고고학적 접근으로 조망한다. 왜냐하면 사로국의 구조를 경관 요소와 접목한 예는 미비하여 공간(취락, 무덤), 주체(사회구성원), 계층화(차별, 통제) 간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는 복합적인 속성이 결합되어 있다는 모델(그림 1 참조)을 통해 접근하면 당시 사회상을 구체화할 수 있다. 또 사로국 경관 구조의 복원을 당시 토지 활용에 대한 관점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다. 사로국은 월성북고분군 세력과 맞물려 있는데, 월성과 인접해서 무덤, 취락 및 황성동 제철유적, 천군동 제철유적, 달천광산 등이 위치한 점은 토지를 지정학적으로 활용하여 성장했을 가능성이 높다.
결국 원삼국시기 경주, 울산, 포항지역 목관·목곽묘의 분포정형과 경관 요소가 가지는 의미를 통해 사로국의 형성과 성장에 대해 입체적 복원이 목표이다.
기대효과:
원삼국시기 경주, 울산, 포항지역 목관·목곽묘의 분포정형과 경관 요소를 통한 사로국의 형성과 성장에 대한 기대효과이다.
첫째, 경주, 울산, 포항지역과 인접지역의 목관·목곽묘와 와질토기의 유적별 종합편년안을 마련하여 분기별 분포정형을 집성한 자료는 사로국의 형성과정을 체계화할 수 있다.
둘째, 경주, 울산, 포항지역과 대구, 영천, 경산, 칠곡, 양산지역 등의 목관·목곽묘의 상사·상이성(무덤의 구조, 매장방식, 토기, 철기의 특징 등)의 의미를 통해 사로국의 전개와 범위 및 확산을 구체화할 수 있다.
셋째, 사로국의 형성과 성장 검토는 경주, 울산, 포항지역 목관·목곽묘의 분기별 분포정형과 경관 요소를 결부해서 ‘국’의 구조에 대해 입체적 복원이 가능하다.
특히 원삼국시기 경주, 울산, 포항지역 목관·목곽묘의 분포정형과 경관 요소를 통해 사로국의 구조는 공간(취락, 무덤), 주체(사회구성원), 계층화(차별, 통제) 간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는 복합적인 속성이 결합되어 있다는 모델을 통해 증명하면 전공자(고고·역사분야), 연구(교육)기관, 일반시민과 유기적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요약:
원삼국시기 경주, 울산, 포항지역 목관·목곽묘의 분포정형과 경관 요소를 통한 사로국의 형성과 성장에 대한 연구요약이다.
● 연구목적: 사로국의 형성과 성장에 대해 경주, 울산, 포항지역 목관·목곽묘의 분포정형과 경관 요소를 결부해서 공간(취락·무덤), 주체(사회구성원), 계층화(차별, 통제) 간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는 복합적인 속성을 반영하여 복원한다.
● 연구내용: ①경주, 울산, 포항지역을 비롯한 영남지방 목관·목곽묘와 와질토기의 종합편년 검토- 와질토기의 편년 확립.
②목관·목곽묘의 분기별 분포정형 검토- 유적별 와질토기의 편년을 근거한 분포정형을 통해 사로국의 형성과정을 체계화.
③사로국의 전개와 범위 및 확산을 경주, 울산, 포항지역과 인접지역을 비교한 의미부여- 무덤의 구조, 매장방식, 토기, 철기의 지역 간 비교를 통해 사로국의 전개와 범위 및 확산을 구체화.
④사로국의 형성과 성장 검토- 목관·목곽묘의 분기별 분포정형과 경관 요소를 결부한 사로국의 형성과 성장 검토 및 무덤, 취락, 황성동 제철유적, 천군동 제철유적, 달천광산 등의 토지를 지정학으로 활용한 사로국의 대내외 경제․정치적 성장을 분석.
● 연구방법: ①종합편년-2000년대에는 토기유물군의 분석을 통한 편년 연구는 더욱 진척되어 정교해졌다. 하지만 최근에 축적된 와질토기 자료와 이전의 것들을 결부시켜 연장선상에서 지역별 종합편년이 필요한 시점이라서 기존의 연구성과를 보완한다.
②분포정형- 원삼국시기 경주, 울산, 포항지역 목관·목곽묘와 와질토기의 분기별 분포지도를 작성해서 관찰되는 특징과 양상을 분포정형의 모델안과 함께 분석한다. 목관·목곽묘와 와질토기의 편년 결과는 분기별 분포정형을 작성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분포정형은 수치지형도, 지질도, 토양도와 위성사진에 점분포패턴 방법으로 분석하고 유적 답사(드론 촬영)와 GIS통합인트라넷시스템(GIS Integrated Intranet System)도 함께 적용하여 입체화한다.
③사로국의 전개와 범위 및 확산- 경주, 울산, 포항지역과 인접지역의 목관·목곽묘 유적을 지도에 분기별로 표시하여 시공적 양상과 전개를 검토한다. 또 경주, 울산, 포항지역과 대구, 영천, 경산, 칠곡, 양산지역 등의 유적별 상사·상이성(무덤의 구조, 매장방식, 토기, 철기의 특징 등)을 통해 그러한 현상이 의미하는 점을 살펴 사로국의 통합 징표를 구체화한다.
④사로국의 형성과 성장- 경주, 울산, 포항지역 목관·목곽묘의 입지 분석과 도면 작성 후 분포정형과 경관 요소를 통해 사로국의 구조를 두 가지 관점에서 검토한다. 즉 경관 요소의 관점과 토지 활용의 관점을 통해 사로국의 형성과 성장에 대한 입체적 복원안을 마련한다.
키워드:
원삼국시기, 목관묘, 목곽묘, 와질토기, 분포정형, 경관, 사로국
Proto-three Kingdoms Period, Wooden coffin, chamber tombs, Grayish Pottery, Distribution pattern, Landscape, Sarog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