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투고 템플릿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KADH) 논문투고규정
제1장. 투고일반
제1조. (목적)
이 규정은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KADH)에서 간행하는 학술지의 논문 투고 기준을 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제2조. (투고 자격)
회비 납부 등 회원의 의무를 수행한 협의회 회원은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심사 절차를 거쳐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할 수 있다. 비회원 논문의 경우 편집위원회의 결정을 거쳐야 한다.
제3조. (투고 방법)
1항) 논문은 정해진 기한에 오픈엑세스 투고심사 시스템을 통해서 투고한다. 접수일자는 본 학회의 논문 투고심사 시스템에 원고를 접수한 날로 한다. 학술지 발간 30일 전까지 접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각 호의 접수 마감일 이전에 논문 투고심사 시스템에 접수된 논문을 그 호의 수록 대상 논문으로 한다.
2항) 논문은 반드시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 논문작성법과 양식”을 준수하여야 하며, 언어는 한국어와 영어 모두 가능하다. 투고자는 협의회에서 제공하는 MS Word 양식 파일(docx)을 다운받아 논문을 작성해야 한다.
제4조. (논문 성격)
논문은 기본적으로 다른 간행물에 발표되지 않은 학술논문이어야 한다. 학위논문(또는 축약본)은 반드시 학위논문임을 명시해야 하며, 제1저자는 학위가 수여된 자라야 한다. 본 협의회에서 주관한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의 경우 반드시 학술대회 발표 논문임을 명시해야 하며, 제1저자는 학술대회 발표자라야 한다.
제5조. (논문과 연구윤리)
논문의 내용에 관한 책임은 기본적으로 저자에게 있다. 논문은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 연구윤리 규정』을 따른다. 이상의 투고 관련 규정에 위배되는 경우에는 논문이 출판된 이후라 하더라도 게재를 취소할 수 있다.
제6조. (논문의 활용)
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은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atives 4.0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4.0/)을 적용하여 배포한다. 따라서 비영리목적으로 누구든지 자유롭게 본 협의회의 학술논문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공공영역의 정보서비스 기관이 본 협의회의 학술지 원문을 제공할 경우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 본 협의회와 이용협약을 맺을 수 있다.
제2장. 논문 작성법
제7조. 투고 논문는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 논문양식”을 준수해야 한다.
제8조. 저자표기
1항) 국영문 저자표기는 저자명과 소속(소속, 전공) 순으로 각각 기입한다.
2항) 저자가 여러명인 경우의 표기 방법은 주 저자- 공동 저자(논문기여도 순서)-교신저자 순으로 기입한다.
제9조. 논문 구성 방법
1항) 논문은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본문, 미주, 참고문헌 순서로 기입한다.
2항) 문단의 첫 행, 첫 글자는 두 칸을 들여 쓴다.
제10조. 목차 작성법
목차는 두 번째 부제까지만 기입한다.
제11조. 초록 작성법
영문 및 국문초록 내용에는 연구목적, 연구방법 및 범위, 간추린 연구내용 및 결과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제12조. 키워드 기입법
논문 내용을 가장 잘 표현하는 키워드(Keywords)를 3~5개 이내로 선정하여 국문초록과 abstract 밑에 한국어와 영어로 각각 표기한다.
제13조. 표제(장,절,항) 기입법
1. 2. 3. …,
1.1 1.2 1.3. …
1.1.1. 1.1.2. 1.1.3. …의 순서로 기입한다.
제14조. 참고문헌(미주)
1항) 참고문헌(미주)는 기본적으로 디지털 자원에 최적화하여 사용하되, 디지털 자원이 불충분한 경우, Chicago Manual of Style 17th Edition를 보완하여 사용한다. 참고문헌에서는 쪽수를 생략한다.
2항) 인용 자료에 DOI 등의 URI(디지털 자원 고유주소)가 존재하는 경우 반드시 포함한다. URI는 DOI를 기본으로 하되, 그 외의 경우에는 다음 항목을 권장한다.
한국논문의 경우, RISS URI와 LOD 및 KCI URI를 권장한다.
영어논문의 경우, JSTOR을 권장한다.
한국저술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LOD와 RISS URI 및 LOD를 권장한다.
영어저술의 경우, WorldCat과 미국국회도서관 LOD를 권장한다.
* 참조:
RISS: https://www.riss.kr/
RISS LOD: https://data.riss.kr/
JSTOR: https://www.jstor.org/
국립중앙도서관 LOD: https://lod.nl.go.kr/
WorldCat: https://search.worldcat.org/
미국국회도서관 LOD: https://loc.gov/
3항) 동양어의 한자는 원저자의 한자 표기 방식을 존중한다.
4항) 논문의 경우:
한국어(동양어)의 경우: 저자명(발행연도). “논문제목”. <학회지명>. 쪽수. URI
예) 김현 (2013). “디지털 인문학: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생 구도에 관한 구상”. <인문콘텐츠>. 102. https://www.riss.kr/link?id=A99671533
예) 강석진, 김용수 (2022). “지식정보 사회에서의 영미문학교육”. <영미문학교육>. http://dx.doi.org/10.19068/jtel.2022.26.2.02
서양어의 경우: Last Name, First Name (Date). “Article Title.” Journal Title. page numbers. URI
(주요 어휘는 대문자로 시작한다.)
예) Xu, Duoduo (2022). “Digital Approaches to Understanding Dongba Pictographs.”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Humanities. 131-146. https://doi.org/10.1007/s42803-022-00057-4
(1인 이상의 저자인 경우)
Shang, Wenyi; Underwood, Ted (2022). “Civil Service Examination Records and Political Independence in the Autonomous Northeastern Region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Tang Dynasty (755–907 C.E.).”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Humanities. https://doi.org/10.1007/s42803-022-00054-7
(2인 이상의 저자인 경우)
단, 디지털 자원이 없을 경우:
한국어(동양어)의 경우: 저자명(발행연도). “논문제목”. <학회지명>. 권호 번호. 쪽수.
예) 김현 (2013). “디지털 인문학: 인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생 구도에 관한 구상”. <인문콘텐츠>. 29. 102.
서양어의 경우: Last Name, First Name (Date). “Article Title.” Journal Title Volume Number-Issue Number. page numbers.
예) Gallman, Robert E. (1970). “Self-Sufficiency in the Cotton Economy of the Antebellum South.” Agricultural History 44-1 5-23.
5항) 저서의 경우:
한국어(동양어)의 경우: 저자명(발행연도). <저서제목>. 출판사명. 쪽수. URI
예) 김현, 임영상, 김바로 (2016). <디지털 인문학 입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355-380. https://lod.nl.go.kr/page/KMO201633857
서양어의 경우: Last Name, First Name (Date). Title of Book. Publisher. page numbers. URI
예) Moretti, Franco (2016). Graphs, aps, Trees : Abstract Models for a Literary History. Verso. 10-12. https://search.worldcat.org/title/1014528047
단, 디지털 자원이 없을 경우:
한국어(동양어)의 경우: 저자명(발행연도). <저서제목>. 출판사. 쪽수.
예시: 김현, 임영상, 김바로 (2016). <디지털 인문학 입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355-380.
서양어의 경우: Last Name, First Name (Date). Title of Book. Publisher. page numbers.
예) Moretti, Franco (2016). Graphs, Maps, Trees : Abstract Models for a Literary History. Verso. 10-12.
6항) 웹리소스의 경우: 편찬자. “객체명”. URI
예)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https://sillok.history.go.kr/
URI는 접속 가능한 가장 짧은 URI을 활용한다
(X) https://sillok.history.go.kr/main/main.do
(O) https://sillok.history.go.kr/
구체적인 대상 사료 URI가 존재할 경우 표시해준다.
예) 국사편찬위원회. “연산군일기 18권 연산 2년 10월 2일 을해 2번째기사”. https://sillok.history.go.kr/id/kja_10210002_002
7항) 편집서/챕터의 경우: 저자명(발행연도). “챕터제목”. 주편집자명 편. <편집서 제목>. 출판사. 쪽수. URI
김병준 (2023). “현대문학 데이터 분석 사례와 그 의미”. 류인태 편. <디지털로 읽고 데이터로 쓰다>. 박문사. 359-370. https://lod.nl.go.kr/page/KMO202325849
8항) 번역서의 경우: 원저자 원어명. 번역자명 역(발행연도). <번역서제목>. 출판사. 쪽수. URI
Moretti, Franco. 김용규 역 (2023). <멀리서 읽기>. 현암사. 10-21. https://lod.nl.go.kr/page/KMO202114296
9항) 미주에서 앞서 인용한 자료를 재인용하는 경우에도 축약하지 않고 표기한다.
10항) 본 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례에 따른다.
제3장. 연구데이터 제출과 처리
제15조. (목적)
이 규정은 논문 투고 과정에서 논문작성에 활용한 연구데이터를 함께 제출하는 것에 관한 기준을 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연구데이터의 제출 의무와 절차 그리고 구체적인 제출 형식(포맷)에 관한 정보를 명시한다.
제16조. (연구데이터 제출 의무)
1항) 투고한 학술지 논문이 연구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한 경우, 투고자는 해당 데이터를 논문과 함께 제출해야 할 의무가 있다. 투고한 논문에서 연구데이터가 언급·제시되거나 논증 과정에서 구체적 논거로 활용되고 있음에도, 논문 투고와 함께 연구데이터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편집위원회 차원의 자체 회의를 통해 투고한 논문을 거부할 수 있다
2항) 단, 「저작권법」 및 그 밖의 다른 법령에서 보호하고 있는 제3자의 권리가 포함된 것으로 정당한 이용허락을 받지 아니한 정보나 그 밖에 법령에 따라 공개가 제한된 정보는 예외로 할 수 있다.
제17조. (연구데이터의 성격과 맥락)
1항) 연구데이터는 기본적으로 투고한 논문에서 구체적 논거로 활용한 모든 결과물(Rawdata, 프로세스, 결과물 등)이다.
2항) 연구데이터는, 크게 분류할 경우 ①투고자에 의해 직접 편찬된 경우와 ②이미 대외에 개방·공유되고 있는 기구축 데이터를 활용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기구축 데이터를 활용한 경우는 다시 ②-ⓐ기구축 데이터를 형식이나 내용의 변형없이 그대로 활용한 경우와 ②-ⓑ연구를 위해 일부 형식이나 내용을 수정·가공해 활용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상기한 경우는 모두 투고자가 연구 과정에서 편찬·가공한 맥락 및 정보를 직접적으로 담고 있으므로, 투고 과정에서 해당 데이터를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
제18조. (연구데이터의 제출 형식)
연구데이터는 추후 온라인 공간에서 검증 및 공유가 용이한 형식으로 수집·정리될 필요가 있기에, 웹표준 기술에 기초한 기계가독형(machine-readable) 데이터 형식을 기본 원칙으로 준용한다.
제19조. (연구데이터의 제출 절차)
1항) 논문 심사에 필요한 연구데이터는 논문 투고시 첨부한다. 첨부하기 어려운 파일 포맷이거나 용량 제한 문제가 있을 경우에만 투고자가 논문 원고에 연구데이터 링크를 첨부한다. 이때 해당 링크는 공정한 심사를 위해 투고자 식별이 불가능한 링크여야 한다.
2항) 투고시 첨부한 연구 데이터 각 파일에 대한 설명이 투고 논문의 본문, 미주, 부록 등에 포함되어야 한다.
3항) 수정 논문 투고시 심사 위원이 연구 데이터에 관해 수정 혹은 추가 연구 데이터 제출을 요청하거나 저자 스스로 필요한 경우 투고자는 수정/추가된 연구 데이터를 첨부한다.
4항) 게재가 확정된 논문의 연구데이터의 공개는 네 가지 방식(dataon, osf, github, dataverse)를 권장한다. 투고자가 원할 경우 위 네 가지 플랫폼 외에 다른 양식을 선택할 수 있다.
5항) 투고자는 연구 데이터 최종 링크를 게재 논문의 본문, 미주, 부록 등에 밝혀야 한다.
제20조. (연구데이터 제출과 연구윤리)
1항) 연구데이터의 내용에 관한 책임은 기본적으로 투고자에게 있다.
2항) 제출된 연구데이터에 관한 연구 윤리 검토는 기본적으로 『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 연구윤리 규정』을 따른다. 예컨대 다른 연구자가 기구축한 데이터를 일부 가공해서 연구데이터로 활용하거나 온라인에서 확보할 수 있는 공공데이터를 일부 편집해서 연구데이터로 활용했음에도 그에 관한 정보를 명시하지 않는 경우와 같이, 투고 관련 연구윤리 규정에 위배될 시 논문이 출판된 이후라 하더라도 게재를 취소할 수 있다.
제21조. (연구데이터의 활용)
본 학술지에 제출된 연구데이터는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atives4.0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4.0/)에 입각한 게재논문 배포와 함께, 본 학술지의 홈페이지를 통해공공데이터로 배포한다. 이에 따라 연구자를 포함한 누구든지 비영리 목적에 의거할 경우 자유롭게 본 협의회에서 제공하는 연구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공공영역의 정보서비스 기관이 본 협의회의 게재논문 유관 연구데이터를 제공할 경우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 본 협의회와 이용협약을 맺을 수 있다.
부칙
①그 밖의 사항은 일반적 관례를 따르거나 편집위원회의 의결을 따른다.
②이 규정은 2023년 02월 08일부터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