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총 1개 과제 선정(컨소시엄형)
과제구분 | 구분 | 주요내용 |
컨소시엄형 | 선정사업 수 | 1개 컨소시엄 |
수행 연구기간 | 최대 7년(4+3년), 1년차는 9개월 | |
정부출연금 규모 | 연간 50억원 내외, 1년차는 37.5억원 |
※ 예산 당국 상황 등에 따라 연구비 및 연구기간은 조정될 수 있음
□ 세부 계획 및 목표에 대한 요구사항
ㅇ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교육과정 개설 및 석·박사 과정 운영 계획 제시
– 다양한 학사전공 분야에서 학생을 모집(인문사회계열 등 데이터사이언스 비관련 학사전공자의 참여를 통해 융합 인재 양성)하여 데이터사이언스 융합인재로 거듭날 수 있는 핵심 및 융합 교과과정 개발·운영
– 데이터사이언스 교육 및 연구에 특화된 환경 조성 방안 마련
(예시:다양한 학제 간 융합방안, 학·석사 연계 프로그램, 학위 공동지도 프로그램 등)
※ 프로그램 형태는 대학별 여건과 특성에 따라 전문/일반대학원, 전공과정, 융합학과, 협동과정 등 대학 자율로 제안
– 연구계획서 제안 시 연차별 석·박사 배출인원 계획 명시
ㅇ 데이터사이언스 융합인재 양성에 적합한 교육·연구 과정 개발 계획 제시
– 융합인재 양성에 효과적인 교수법을 적용한 교육과정 개발 및 확산
※ PBL(Project Based Learning, 문제기반학습, 프로젝트기반학습), 캡스톤, 플립드러닝 등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하여 데이터 사이언스 융합인재 양성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개발
– 온라인 공개 강의 개발 및 운영, 교육용 데이터 구축 및 공개
– 강의·프로젝트 등에 연구소·기업·지역사회 등 참여 권장
※ 예시 : 강사 등 소속 전문가 활용, PBL 주제 제시 및 프로젝트 공동 추진, 시설‧장비 지원 등
– 해외 유수대학 및 글로벌 기업·연구소 등과의 국제협력 프로그램 수립 및 운영 권장
ㅇ 학내 데이터사이언스 교육 및 연구 확산 주도 계획 제시
– 데이터사이언스의 핵심지식이 타 전공분야에서 접목·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
– 교육‧진로상담, 학습그룹, 창업 멘토 등 학생지원프로그램 운영 권장
ㅇ 데이터사이언스 분야 교육·연구의 허브 역할(주관대학) 계획 제시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교육용 인프라·데이터 및 활용·확산 체계 구축
※ 데이터사이언스 교육·연구 확산을 위해 주관대학, 참여대학 등을 포함하여 단계적으로 타 기관에서도 컨소시움이 구축하는 인프라 및 교육용 데이터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체계
– 주관대학이 개발한 교육 컨텐츠와 운영 노하우가 참여대학 등에 지속적으로 전수되어 인재배출, 교육 및 연구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체계 구축
– (성과 확산) 데이터사이언스 산학연 협의체 구성 및 운영 등을 통해 관련 분야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소통의 장 마련, 컨소시엄 참여대학의 지역산업에의 기여 제고 및 성과확산 관련 리더쉽 역량제시
구분 | 성과 목표 |
인재 배출 | ◾ 매년 이수요건을 충족한 석ㆍ박사 졸업생 배출 인원 수 – 신입생 기준 1차년도 50명, 2차년도 이후 100명 이상 정원 확보 |
인재 활용·확산 | ◾ 졸업자의 관련 기업 취업, 관련 분야 창업 및 유관 분야 진학 실적 |
교육 프로그램 | ◾ 데이터사이언스 전주기 교육 커리큘럼 개발·운영 성과◾ 표준적인 데이터사이언스 교육 교재 및 강의 콘텐츠의 개발 및 확산※ 데이터사이언스 온라인 공개강의 개발·운영 성과 및 교육용 데이터 구축 및 공개 필수 |
수혜자 만족도 | ◾ 교육대상자들의 교육 컨텐츠 및 커리큘럼 만족도 |
연구성과 | ◾ 논문 등 |
협업형 문제해결 | ◾ 인턴 등 석ㆍ박사 학생들의 산학연 현실문제 해결 참여성과◾ 연구소‧기업·지역사회와의 융합교육 연계성과※ 비수도권 대학 및 지역의 균형 발전을 위한 협력 성과 |
교육·연구 확산 | ◾ 타 전공 분야 학생들에 대한 데이터사이언스 핵심 지식 학습 지원◾ 데이터사이언스와 다양한 전공분야와의 융합연구 협력 성과◾ 글로벌 연구소 및 대학과의 공동 연구 성과※ 주관대학과 참여대학 간의 교육 및 연구 협력 성과 |
협의체 구성 | ◾ 데이터사이언스 산학연 협의체 구성 및 운영을 통한 성과 확산 |
ㅇ 데이터사이언스, 인공지능 관련 타 인력양성사업* 참여자(학생 및 교원), 취업연계 장학금 수혜자, 외국인 학생은 참여 제한
* 산업전문인력AI역량강화, 인공지능융합선도프로젝트, 인공지능대학원지원(AI대학원) 등
ㅇ 컨소시엄형 구성 시 자율구성을 원칙으로 하되 지방균형 발전을 위하여 주관대학 및 참여대학은 비수도권(서울, 인천, 경기도 외 지방) 대학으로 제한
※ 5대 과학기술특성화대학(KAIST, GIST, DGIST, UNIST, POSTECH)은 수도권 대학으로 구분
– 연구계획서 제안 시 주관대학과 참여대학 간 교수진 구성, 인재 배출 계획, 연구비 집행 비율 등이 편중되지 않도록 균형 있게 제시(각 참여대학에 연간 정부출연금 비중의 15% 이상 편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