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지털인문학협의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Digital Humanities, KADH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은 디지털 환경과 데이터 처리 기술을 매개로 수행하는 새로운 방식의 인문학 연구와 교육을 말합니다.

About KADH

한국한자 종합검색시스템 /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https://oriental-dic.dankook.ac.kr ▲『한국한자어사전(1996)』 ▲『이두사전(2020)』 ▲『한국한자자전(2023)』을 집대성해 온라인으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구성한 통합 검색 플랫폼 『한국한자어사전』과 『한국한자자전』에 수록된 한국식 한자 표제어 85,000여 개와 용례 74,000여 개, 『이두사전』의 이두어휘 약 4,200여 개와 이두용례 12,000여 개를 포함하고 있어 국내 최대의 한국한자 관련 데이터를 수록 기존 한자 유니코드에 등재되지 않거나 폰트가 없는 약 2,300자의 신출 한자는 단국대가 자체 개발한 ‘DK한국한자’ … Read more

[채용] 전임 / 융합 인문학 / KAIST 2025학년도 2학기

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모집분야: 이공계 분야와 융합연구가능한 인문학 전분야 * 지원서류 접수기간: 2025년 4월 22일 ~ 2025년 5월 19일 오후 6시 (한국표준시)* 지원방법: 이메일 접수: sdhcss@kaist.ac.kr [이메일 제목: 전임직교원-모집분야-OOO(성명)]* 관련문의: 042-350-4603 https://hss.kaist.ac.kr/boards/view/notice/128

생성형AI 환상 순위: LLM Confabulation (Hallucination) Leaderboard for RAG

https://github.com/lechmazur/confabulations 해당 기사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 오해의 소지가 있는 질문에 응답할 때 얼마나 자주 존재하지 않는 답변, 즉 허구 또는 환각을 생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벤치마크에 관한 것입니다. 질문은 LLM 훈련 데이터에 아직 포함되지 않은 최근 기사를 기반으로 합니다. RAG(검색 증강 생성)를 사용할 때는 이러한 허구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년 2월 10일 현재, 제공된 텍스트에 답변이 … Read more

[특강] Knowledge Extraction from Fiction Using Generative Large Language Models and Multilingual Semantic Parsing (Apr 30)

생성형 거대 언어 모델과 다국어 의미 분석을 이용한 소설에서의 지식 추출페데리코 피안졸라 박사 (Dr. Federico Pianzola)네덜란드 흐로닝언 대학교 언어 및 인지 센터계산 인문학 조교수https://federicopianzola.me/portfolio/ 일시 : 2025년 4월 30일 (수) 오후 4:00장소 : 퇴계인문관 31408호 공동주최 :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4단계 BK21교육연구단,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성균관대학교 언어AI대학원 비정형 텍스트에서 사건 지식을 추출하는 것은 자연어 처리(NLP) 분야에서 잘 … Read more

[Youtube] DH講座

일본 인문학 연구기관 인간문화연구기구(인문기구)의 Youtube 공식 계정에 올라온 DH講座(강좌) 시리즈 TEI, IIIF 등의 디지털인문학 강좌가 올라와 있음. https://www.youtube.com/@NihuJp/videos